KNU지구환경시스템공학과

KANGWON NATIONAL UNIVERSITY

모바일메뉴 열기 모바일 메뉴 닫기
 
 

졸업 후 진로

취업전망
  • 인류에 친화적인 환경 유지를 위한 자연생태, 수환경, 대기환경, 토양환경분야의 기술개발 기관 또는 유지관리기업체 취업 기반
  • 육지에 존재하는 안정적 수자원 유지를 위한 비점오염원 관리 필요성
  • 지구 온난화 방지와 탄소의 국제 거래에 능동적 대처 필요성 증가
  • 생활폐기물과 유해폐기물의 안전한 감량과 처리기술개발 사업의 수요증가
  •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해양기반 에너지 플랜트(파력발전소, 해상풍력에너지시설, 해양자원 시추시설) 사업이 급증하는 추세
  • 기상이변으로 인한 해양 기인 자연재해의 증가로 피해저감기술을 지닌 전문가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
  • 경제성장으로 인한 해양개발/해양관광 인프라구축(요트마리나항, 해저터널, 국제적 미항 개발)을 위한 국가적 관심사의 증대로 전문 인력의 수요가 급증
취업진로
  1. 1) 관공서(공무원)

    국토교통부, 해양수산부, 환경부, 농림축산부,안전행정부, 소방방재청, 기상청, 국토지리정보원, 국립해양조사원, 강원도청, 강원도 지자체 공무원 등

  2. 2) 국영기업체(공기업)

    한국도로공사, 대한LH공사, 수자원공사, 대한지적공사, 한국농어촌공사, 한국전력공사, 농업기반공사, 한국석유개발공사, 한국철도기술공사, 한국통신공사, 고속도로관리공단, 환경관리공단 등

  3. 3) 연구기관(국책연구소)

    한국해양과학기술원, 건설기술연구원, 국립재난안전연구원, 기상연구소, 국토연구원, 환경정책평가연구원, 국립환경연구원, 철도기술연구원, 한국에너지연구소, 각 건설회사 기술연구소 등

  4. 4) 시공회사

    현대건설, 삼성물산 건설부문, 대우건설, GS건설, 대림산업, 포스코건설, 현대산업개발, 롯데건설, SK건설, 두산건설, 금호건설, 한화건설, 한진중공업, 두산중공업, 쌍용건설, 경남기업, 동부건설, 코오롱건설, 한라건설, 태영건설, 풍림산업, 벽산건설, KCC건설, 삼성중공업 등

  5. 5) 설계회사

    도화종합기술공사, 유신코퍼레이션, 현대엔지니어링, 동명기술공단, 건화엔지니어링, 한국종합기술, 삼보기술단, 대영엔지니어링 등

  6. 6) 학계(대학교수)

    전국대학교의 토목공학과, 해양건설공학과, 환경공학과, 공간정보공학과, 지리정보학과, 교통공학과, 도시공학과 등 건설관련학과

  7. 7) 언론인(건설관련언론사)

    국토일보, 한국건설신문, 매일건설신문, 국토해양신문, 토목신문, 국토경제신문과 같은 건설관련 전문 언론사 등

  8. 8) 대학원 및 해외유학

    석사, 박사, 석박사 통합과정, 학석사연계과정